아두이노 로드셀 전자저울 키트 조립 및 테스트
아두이노 우노보드를 사용한 전자저울 키트입니다. 조립 구성품은 아래 사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KG 로드셀 센서를 사용하며 버튼키를 이용하여 영점조정 및 옵셋조정이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조립시 드라이버와 너퍼등의 공구가 있으면 편리합니다.
또한 소스를 수정하여 자신만의 프로젝트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아두이노 IDE를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아두이노 전자저울 키트 조립 및 테스트
완성된 모습
1. 키트 구성품 리스트
아두이노 로드셀 전자저울 키트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2. 저울부 조립하기
저울 부분을 조립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부품을 준비합니다. 스크류 드라이버 및 니퍼, 너트 드라이버 등의 공구도 필요합니다.
먼저 아크릴판의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받침대 조립을 위해 아래와 같은 아크릴 판과 M3볼트 4개, M3너트 4개를 준비합니다.
받침대를 만들기 위해 4개의 홀에 볼트를 넣고 너트로 조여줍니다. 이 때 상부가 위로 오도록 볼트를 넣고 조립하며 상하가 바뀌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자세한 것은 아래 조립된 사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십자 드라이버와 너트드라이버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받침대가 완성된 모습니다. 아래와 같은 모습으로 상부가 위에 오도록 하고 상하가 바뀌지 않도록 합니다.
다음은 로드셀센서와 HX711 AD보드를 아래와 같이 납땜합니다.
조립된 받침대와 납땜한 로드셀센서, HX711 AD보드를 고정시키기 위해 M3.5볼트 2개와 갭 아크릴을 준비합니다.
받침대 뒷 부분으로 볼트를 넣고 갭 아크릴을 끼운 후 로드셀센서를 고정시킵니다.
다음으로 HX711 AD보드를 고정시키기 위해 M3볼트 2개와 M3 너트 2개를 준비합니다.
받침대 뒷부분으로 볼트를 넣고 HX711 AD보드를 끼운 후 너트로 조여줍니다.
로드셀 센서 아래로 케이블을 넣어주고 HX711 AD보드 고정후 케이블 타이등으로 케이블을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조립된 받침대와 남은 아크릴판을 연결하기 위해 아크릴 상판과 M4볼트, 갭 아크릴을 준비합니다.
로드셀센서 위에 갭 아크릴을 올린 후 아크릴 상판을 올려 드라이버로 고정시킵니다.
완성된 저울부 모습입니다.
3. LCD모듈 커넥터 납땜
HX711 AD 보드와 연결하기 위해 LCD모듈에 각각 2핀헤더와 5핀헤더를 납땜합니다.
먼저 포함된 헤더커넥터를 2핀과 5핀으로 각각 자릅니다.
아래와 같이 2핀 커넥터는 5V와 GND에 납땜하고 5핀커넥터는 A1~A5에 납땜합니다.
아래와 같이 4핀 케이블을 사용하여 LCD모듈과 HX711 AD보드를 연결합니다.
아래는 조립을 완료한 후 USB케이블을 사용하여 전원을 투입한 사진입니다.
영점조정 버튼은 현재의 무게를 0으로 설정합니다. 옵셋값은 HX711 AD보드에서 받은 값을 무게로 환산하기 위한 값이며 위/아래 키를 사용하여 변경가능합니다.
아래는 50G 무게추로 무게를 측정한 사진입니다.
아래는 50G 무게추 4개로 무게를 측정한 사진입니다.
아래는 50G 무게추를 올리고 영점조정 버튼으로 현재의 무게를 0으로 설정한 사진입니다.
아래는 소스컴파일에 필요한 HX711 AD모듈 아두이노 라이브러리 입니다.
라이브러리
소스코드
소스코드는 키트에 포함되어 있으며 인쇄물로 제공됩니다.
아래는 키트에 포함된 아두이노 우노 R3 호환보드입니다. USB 드라이버만 별도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아래 링크의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합니다.
아두이노 우노 R3 호환보드용 CH340 USB드라이버
다운로드한 드라이버파일의 압축을 풀고 SETUP.EXE를 실행하면 아래의 창이 나타나며 INSTALL버튼을 누르면 드라이버가 설치됩니다.
드라이버를 설치한 후 아두이노 우노 보드를 USB에 연결하면 장치관리자에서 아래와 같이 시리얼포트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로 가시면 아두이노 IDE 소프트웨어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아두이노 IDE 사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