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블록코딩 #1 스크래치(scratch)와 엠블록(mblock) 소개 및 설치

MIT에서 개발한 스크래치(Scratch)는 레고 블록처럼 화면상의 여러 형태의 블록을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으로 쌓아 올리는 방법으로 코딩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툴입니다. 스크래치를 사용하면 어려운 코딩 프로그래밍을 재미있고 쉽게 배울 수 있으며 여러 가지 프로그래밍 기법을 재미 있게 익힐 수 있습니다.

 

 

스크래치(Scratch) 사이트의 주소는 Scratch.mit.edu 입니다. 

 

엠블록(mBlock) 5는 스크래치 3.0 기반으로 만들어져 스크래치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스크래치에서 작성한 프로그램으로 아두이노 보드를 통하여 물리적인 장치와 연결하고 로봇 또는 자동차처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엠블록은 윈도우즈 또는 애플 맥에서도 사용가능하며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상에서도 구동가능합니다.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서만 동작하며 윈도우즈 익스플로러 등 기타 웹브라우저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엠블록(mBlock) 5 실행하기

엠블록(mBlock) 5는 Window와 Mac OS에서 모두 실행 가능합니다. PC에서 엠블록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웹브라우저(구글 크롬브라우저)에서 바로 실행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구글 크롬브라우저가 설치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반드시 설치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엠블록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기타 웹브라우저에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환경, 구글 크롬브라우저 설치가 어려운 경우 그리고 기타 필요에 따라 PC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엠블록(mBlock) 5 사이트 : (http://www.mblock.cc/mblock-software/)

위 주소를 입력하고 엠블록 사이트에 들어가서 웹(Web)을 누르시면 엠블록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단, 아두이노 보드를 mBlock Web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mLink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mLink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장치 연결이 되지 않으며, 프로그램 작성은 가능하지만 아두이노 보드에 업로드를 할 수 없습니다. 

 

mLink 설치 링크를 클릭하여 설치하시면 됩니다. mLink가 설치되어있지 않은 경우 아두이노 보드와 장치 연결이 되지 않으며 엠블록에서 작성한 프로그램을 아두이노 보드로 업로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Download)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실행합니다. 

mLink 다운로드 (mLink-Windows)

 

화면의 지시에 따라 mLink 설치를 완료합니다.

 

mLink 설치가 완료되면, 바탕 화면과 작업 표시줄에 mLink 아이콘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를 재시작하는 경우 mLink를 반드시 재실행해 주어야 합니다. 

 

이제 다시 돌아가서 엠블록을 실행합니다. 아래는 엠블록 5 웹을 실행했을 때의 처음 화면입니다. 

 

하단의 장치탭에서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장치 라이브러리] 창이 뜨며 "Arduino Uno"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추가합니다. 

 

아두이노 보드를 PC와 연결하고 연결 버튼을 클릭하면 [장치 연결] 창이 나타납니다.  "접속 가능한 모든 기기 표시"를 선택하고 아두이노 보드와 연결되어 있는 COM포트를 선택한 후 [연결] 버튼을 클릭하면 아두이노 보드와 연결되며 프로그램 업로드가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장치 드라이버가 켜지지 않음] 창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설치된 mLink를 실행하거나 mLink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설치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하단의 [+확장] 버튼을 클릭하면 [확장 센터] 창이 나타납니다.  이 중에서 "싸이피아 SCIPIA SPAC" 하단의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싸이피아 SPAC] 블록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블록코딩 방법은 스크래치 사용법과 같습니다. 원하는 코딩 블록을 드래그하여 가져다 놓으면 자동으로 코딩이 추가됩니다.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