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블록코딩 #2 블록코딩으로 아두이노보드 LED 켜기

여기서는 간단한 예제를 통해 엠블록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업로드하여 아두이노 보드를 동작시키는 전체적인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두이노 보드에는 디지털 IO포트 13번과 연결된 LED (L로 표기)가 있으며 해당 포트에 HIGH를 출력하면 LED가 켜지고 LOW를 출력하면 LED가 꺼집니다.

아두이노 블록코딩 #1 스크래치(scratch)와 엠블록(mblock) 소개 및 설치

MIT에서 개발한 스크래치(Scratch)는 레고 블록처럼 화면상의 여러 형태의 블록을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으로 쌓아 올리는 방법으로 코딩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툴입니다. 스크래치를 사용하면 어려운 코딩 프로그래밍을 재미있고 쉽게 배울 수 있으며 여러 가지 프로그래밍 기법을 재미 있게 익힐 수 있습니다.

SBOT1 아두이노 세그웨이 밸런싱로봇 제작(Feat. MPU6050, PID제어)

여기서는 세그웨이(Segway)와 같이 두 바퀴로 균형을 유지하여 넘어지지 않는 로봇을 제작합니다.

이 로봇은 Self-balancing robot 또는 평행자동차, 밸런싱로봇, 세그웨이 로봇으로 불리우며 여기서 실험하는 로봇은 매우 단순한 구조로 최소한의 부품으로 밸런싱로봇을 구현해보고 원리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ARBOT1 아두이노 4자유도 로봇팔자동차 조립방법 3

ARBOT1은 아두이노 4자유도 로봇팔과 4WD자동차가 결합된 스마트카로봇입니다. 아크릴 4자유도 로봇과 4WD 차대와 결합하여 자동차 주행 및 로봇팔 구동실험을 할 수 있습니다. 18650 배터리 2개를 사용하여 강력한 구동으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PART3에서는 차대1번과 차대2번을 결합하고 결선을 마무리하여 로봇팔자동차를 완성하게 됩니다.

ARBOT1 아두이노 4자유도 로봇팔자동차 조립방법 2

ARBOT1은 아두이노 4자유도 로봇팔과 4WD자동차가 결합된 스마트카로봇입니다. 아크릴 4자유도 로봇과 4WD 차대와 결합하여 자동차 주행 및 로봇팔 구동실험을 할 수 있습니다. 18650 배터리 2개를 사용하여 강력한 구동으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PART2에서는 차대 2번에 아두이노보드,드라이버보드,배터리케이스 그리고 조립된 로봇팔을 올리게 됩니다.

ARBOT1 아두이노 4자유도 로봇팔자동차 조립방법 1

ARBOT1은 아두이노 4자유도 로봇팔과 4WD자동차가 결합된 스마트카로봇입니다. 아크릴 4자유도 로봇과 4WD 차대와 결합하여 자동차 주행 및 로봇팔 구동실험을 할 수 있습니다. 18650 배터리 2개를 사용하여 강력한 구동으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폰과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제어가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받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SPAC1N 뉴 아두이노 2WD 자동차 스마트카 로봇 PART1(조립하기)

SPAC1N 뉴 아두이노 자동차는 SPAC1에서 새롭게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기존 SPAC1과 달리 모든 부품이 차대위에 견고하게 장착되며 더욱 튼튼하고 내구성이 좋아졌습니다.

기능적으로는 LCD표시창을 추가하여 초음파센서로 부터 계산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애물과의 거리가 10CM이내인 경우 후진을 하여 장애물 탙출을 더욱 용이하게 하였습니다.

Pages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