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기본실습 10 - NRF24L01 무선통신 실험
NRF24L01은 2.4~2.5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칩으로서 SPI통신으로 출력파워와 채널,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0mA 정도의 저전력 디바이스로 파워다운모드나 스텐바이모드시에는 전력소모를 최소화가 가능합니다.
NRF24L01은 2.4~2.5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칩으로서 SPI통신으로 출력파워와 채널,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0mA 정도의 저전력 디바이스로 파워다운모드나 스텐바이모드시에는 전력소모를 최소화가 가능합니다.
서보모터는 일정한 속도로 연속회전하는 일반모터와 달리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하게 하는 모터로 로봇이나 기타 위치제어에 많이 사용됩니다. 서보모터에도 토크, 최대각도, 사용전압 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합니다. 여기서는 소형 서보모터에 속하는 9g 서보모터를 사용하여 아두이노로 각도를 제어하는 실험을 합니다.
LM35온도센서는 외부온도에 따라 비례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센서로 아두이노 보드로 손쉽게 온도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0°C에서는 0V이며 1°C 당 10mV씩 전압이 증가합니다.
1602 텍스트 LCD는 16줄 2라인의 영문텍스트를 표시가능한 LCD로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최초의 1602 LCD는 HD44780컨트롤러를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많은 호환칩들이 개발되어 동일한 기능의 LCD를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아두이노보드를 사용하여 LCD에 텍스트를 표시하는 실험을 합니다.
포토레지스터(Photoresistor)는 일명 CDS센서라고도 불리우며 빛의 양을 측정하는 광센서로서 조도센서의 역할을 합니다. 빛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며 빛을 받으면 내부 저항값이 감소하며 빛이 없으면 내부 저항값이 급격히 증가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푸시버튼 스위치는 회로구성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전자부품으로 모터와 같은 장치들을 온/오프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 번 실험에서는 푸시버튼 스위치로 회로구성을 한 후 아두이노 프로그램으로 입력을 받아 LED를 온/오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여러가지 종류의 푸시버튼 스위치가 있으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6MM 또는 12MM TACT SWITCH를 가지고 실험합니다.
여기서는 숫자표시 LED인 7세그먼트 LED를 이용하여 숫자를 표시하는 실험을 합니다. 7세그먼트 LED는 8개의 LED(도트포함)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두이노 보드의 8개의 디지털IO핀을 사용하여 각각의 LED를 ON/OFF함으로써 숫자를 표시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패시브버저(Passive Buzzer)를 가지고 소리를 내는 실험을 해봅니다. 아두이노 우노보드에서는 2 가지의 주파수를 만들어내고 이 를 디지털IO 포트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게 됩니다.
버저에는 패시브버저와 액티브버저(Active Buzzer)가 있으며 이 둘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는 기본실습 1을 확장하여 6개의 LED를 이용한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LED를 점멸하는 방법 및 6개의 LED를 각각 어떻게 제어하는지 프로그램을 통해 알아봅니다.
아두이노 우노보드를 이용한 LED 점등 실험을 합니다. 정확하게는 아두이노 우노보드의 디지털IO를 사용하여 LED를 2초 간격으로 ON/OFF(점멸)하게 합니다.